떡밥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07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
포뮬러 1
(r4 문단 편집)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스폰서 == [include(틀:포뮬러 원 파트너 브랜드)] * 차량 전체에 이런저런 기업 로고들이 붙어있어 레이스 카는 움직이는 광고판인데, 여기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히 비싸다. 전부 다 1800억 원 이상 필요하다고는 하지만[[http://biz.chosun.com/site/data/html_dir/2011/10/11/2011101101192.html|#]] 이것도 각 팀마다 팀의 규모와 광고 위치 및 크기가 다 다르기에 스폰서 비용이 천차만별이다. * 한진그룹([[대한항공]])은 1994년부터 F1 스폰서로 참여했다. 특히 [[베네통 포뮬러 1 레이싱 팀]]와 [[르노 F1 팀|마일드 세븐 르노 F1 팀]]을 후원하던 시절이 유명하다. 당시 대한항공 로고는 차량 외관, 팀 유니폼, 그리고 [[페르난도 알론소]]의 헬멧 바이저에도 부착되었다. 이후 [[한진해운]] 명의로 후원이 이어졌으나, 2007년을 끝으로 중단되었다. 2006년 [[한진해운]]의 조수호 회장의 별세를 애도하며 르노는 스페셜 컬러링으로 대회에 참가하기도 했다. * [[LG]]는 2009년부터 F1의 메인 타임키퍼 겸 스폰서로 참여했다. 중계 화면에 랩타임과 함께 LG 로고가 표시되었으며, [[레드불 레이싱]]과 [[미나르디]]도 후원했다. 2014시즌부터는 [[롤렉스]]가 LG를 대신해 메인 타임키퍼로 자리 잡았다. * [[르노삼성자동차|르노삼성]]은 [[코리아 그랑프리]]가 마지막으로 열렸던 2013시즌에 [[로터스 F1 팀]]의 E21과 [[케이터햄 F1 팀]]의 CT03 외관과 팀 유니폼 등에 르노삼성 전용 로고와 르노 영문 글자 대신 한글 르노삼성 이름으로 스폰서 명을 바꿔 후원했던 적이 있다. 이외 기타 국내 회사가 F1에 후원한 경우는 보광훼미리마트(이후 [[CU]]) 등이 있었으나 2014시즌부터 코리아 그랑프리가 캘린더에서 빠지자 그나마 남아있던 대형 스폰서 [[LG]]마저 빠지면서 F1을 후원하는 한국 회사는 없어졌다. * 2023시즌 [[영국 그랑프리]] 한정으로 [[삼성 갤럭시]]가 [[맥라렌 포뮬러 1 팀]]의 스폰서로 등장했다. * 2024시즌 일부 그랑프리 한정으로 [[신한카드]]가 [[비자 캐시 앱 RB 포뮬러 원 팀]]의 [[일본 그랑프리]], [[싱가포르 그랑프리]]에 노즈 스폰서로, [[신라면세점]]이 [[맥라렌 포뮬러 1 팀]]의 싱가포르 그랑프리 헤일로와 사이드팟 쪽에[* 기존의 [[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|VELO]] 자리] 영문 로고로 등장했다. * 2025년 현재도 풀타임 한국 스폰서는 어디에도 없는데, 후술하겠지만 F1 뿐만 아니라 [[NASCAR|나스카]]나 [[월드 인듀어런스 챔피언십|WEC]] 같은 세계적인 메이저급 대회에서 한국 스폰서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이유는 그만큼 한국 회사들이 [[모터스포츠]]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. 당장 F1만 보더라도 전 세계에서 그 어느 모터스포츠보다 지명도가 높지만, [[코리아 그랑프리]]를 개최했던 4년 내내 서킷 운영 적자를 봤던 전례가 있고, 중계 방송에 보일만 한 F1 차량의 사이드포드나 방호벽에 광고를 붙이는 수준으로 스폰서를 하려면 수십~수백억이 들기 때문에 선뜻 스폰서로 나서기 힘든 상황이다. * 1980~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F1 스폰서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은 단연코 [[주류]]와 [[담배]] 회사였다. 대표적인 사례로 [[스쿠데리아 페라리|페라리]]의 타이틀 스폰서는 [[말보로]], [[맥라렌 포뮬러 1 팀|맥라렌]]은 [[웨스트]], [[조니 워커]], 바르슈타이너, [[르노 F1 팀|르노]]는 [[마일드 세븐]], [[윌리엄스 레이싱|윌리엄스]]는 [[로스만스]]와 [[마티니]], [[포스 인디아 포뮬러 원 팀|포스 인디아]]는 킹피셔[* 팀 소유주가 킹피셔의 소유주였다.], [[스미노프]]였다. 한때는 암호화폐 기업 또는 테크 기업이 주요 스폰서였으며, [[머니그램 하스 F1 팀|하스]]와 윌리엄스를 제외한 모든 팀이 암호화폐 스폰서를 적어도 1개씩은 두고 있던 적이 있었다.[* [[오라클 레드불 레이싱|레드불]]은 [[gate.io|Gate.us]], 맥라렌은 [[OKX]]와 테조스, [[BWT 알핀 F1 팀|알핀]]은 [[바이낸스]], [[애스턴 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|애스턴 마틴]]은 [[크립토닷컴]]과 [[코인베이스]], [[윌리엄스 마티니 레이싱|윌리엄스]]는 [[Kraken]], [[스테이크 F1 팀 킥 자우버|F1 팀 킥]]은 코인페이먼츠를 스폰서로 두고 있다. 그러나 메르세데스를 후원하던 FTX의 파산을 기점으로 몇몇 팀들은 가상화폐 스폰서를 끊어 버렸다.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또는
기타 라이선스 (문서에 명시된 경우)
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07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07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